엑셀 업무 환경을 위한 설정(자동 저장)
엑셀을 비롯해서 문서 작업을 하던 중에 PC가 꺼지거나
프로그램의 오류로 인해서 흔히 말하는 문서가 날아간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Ctrl + S 단축키를 이용해서 수시로 저장하는 습관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처 저장을 하지 못한 경우에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도록
엑셀에서는 도와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우리가 작업 중 저장하는 것을 잊을 만큼 열심히 작업할 때
자동복구 파일을 조용히 저장을 해주고 있는 겁니다.
자동복구 파일이 있다고는 하지만 막상 찾으려면
어디서 찾아야 할지도 막막하실 텐데요.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과 자동 복구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엑셀의 좌측 상단에 '파일' 메뉴를 클릭합니다.
파일 메뉴를 클릭해서 들어간 후 좌측 하단에 '옵션'을 클릭합니다.
옵션을 클릭하면 'Excel 옵션'창이 열리는데 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저장을 선택합니다.
통합 문서 저장에서 보시면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이 10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또 아래를 보시면 자동 복구 파일 위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저는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을 1분으로 변경하고
자동 복구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 실제로 1분으로 설정을 하면 1분마다 저장이 이루어지면서
PC사양이나 저장한 파일의 크기에 따라서 문서 작업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설정해 보시고 불편하시면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을 조금 늘리시면 됩니다.
자동 복구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확인하실 때에는
직접 해당 폴더를 찾아들어가시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주소가 길기 때문에 직접 찾는 것보다는 아래처럼
주소를 복사해서 파일 탐색기 상단에 복사된 위치를 붙여 넣기 해서
빠르게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복사하셔서
파일 탐색기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해당 폴더로 들어가 보니 여러 개의 자동 복수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직접 실행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에게 필요한 기능이 있다면 생각해 보시고 적극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