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 표를 만들거나 데이터 범위를 이용하곤 합니다.
주로 합산, 평균값 구하기 등의 작업을 하게 되는데 표를 만들어서 작업하기에는 번거롭기도 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어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능이 피벗 테이블입니다.
피벗 테이블은 데이터를 계산, 요약 및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로서, 테이터의 비교, 패턴 및 추세를 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경기도 지역의 10개 학교의 학교명, 인원수, 학급 수를 정리한 데이터 범위입니다.
10개 학교라서 동일한 지역에 복수의 학교가 있다면 눈으로 찾거나 또는 필터를 적용해서 찾고
값을 구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100개의 학교라면 필터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지역별 학교 수와 인원의 합계 등을 구하는 건
번거로운 일이 됩니다.
100개의 학교는 아니지만 10개의 학교를 피벗 테이블의 기능을 이용해서 쉽고 빠르게 지역별 학교 수와 인원수, 그리고 학급 수를 구해 보겠습니다.
먼저 정리되어 있는 데이터 범위의 셀 중 하나를 선택하신 후 엑셀 상단의 삽입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표 리본 메뉴의 '피벗 테이블'을 클릭합니다.
그럼 보시는 것처럼 피벗 테이블 만들기 창이 나오고 피벗 테이블을 적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범위가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만약 범위 지정에 문제가 있다가 직접 수정하셔서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벗 테이블 보고서를 넣을 위치를 선택하는 곳에서는 기본으로 '새 워크시트'가 선택되어 있는데
이번에는 '기존 워크시트'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기존 워크시트'를 선택하시면 피벗 테이블이 생성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활성화됩니다.
저는 작성된 데이터 범위 우측에 피벗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치를 지정했습니다.
이렇게 피벗 테이블이 시작됩니다.
우측 상단을 보시면 작성된 데이터 범위에 작성된 열의 이름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피벗 테이블을 사용하실 때는 머릿속으로 어떤 데이터를 기준으로 어떤 값을 보고 싶은지 그리시고 적용하시면 좋습니다.
머릿속으로 그리기 어려우시다면 행과 열에 적용을 해 보시면서 원하는 값을 찾는 것도 방법입니다.
저는 지역별 학교 수, 인원수, 학급 수를 알고 싶은 지역이 정리되어 있는 '시군' 필드를 '행'으로 끌어 놓고
지역별 학교 수, 인원수, 학급 수를 알아보기 위해서 '값'으로 끌어 놓겠습니다.
필드를 적용하니 각 지역별 학교의 개수, 인원과 학급의 합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총합계가 나와서 제가 만들었던 데이터 범위에 포함되는 전체 학교 수와 학생 수, 학급 수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합계뿐만 아니라 평균이나 최대, 최소로 설정해서 원하는 값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저는 학급 수를 합계가 아닌 평균으로 바꾸려고 합니다.
해당 필드의 오른쪽에 있는 역삼각형을 클릭하신 후 나온 메뉴 중에서 '값 필드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후 값 필드 설정 창이 열리는데 '값 필드 요약 기준'에서 '평균'을 선택하면 됩니다.
또 학교명을 기준으로 학교별 지역과 인원수를 알고 싶으시다면 간단하게 필드가 놓여있는 행과 열만 수정하면 됩니다.
학교명을 '행'으로 가져와서 학교명 기준으로 보이며 '시군'을 열에 끌어 놓았기 때문에 지역별로 나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학교 수, 인원수, 학급 수를 확인하고 불과 몇 초만에 학교별 지역별 인원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용했습니다.
단순히 행과 열. 그리고 값에 어떤 필드를 끌어 놓느냐에 따라서 원하는 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벗 테이블의 기본 기능을 공부했는데 사실 이 정도만으로도 많은 시간을 단축시키고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른 방법을 통해서 결과를 얻으려고 했다면 부수적인 많은 사전 작업 등으로 피로도가 높아졌을 겁니다.
좀 더 다양한 피벗 테이블의 기능은 추후에 시간을 내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Exc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빠른 채우기 알아보기(기본) (0) | 2024.04.08 |
---|---|
엑셀 쉽게 배우는 피벗 테이블 (누계) (0) | 2024.04.05 |
엑셀 세상 간단한 그림 정렬하기 (0) | 2024.04.03 |
엑셀 그림 깔끔하게 삽입하기 (0) | 2024.04.02 |
엑셀 워터마크 삽입하기 (0)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