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실습보다는 앞으로 배워볼 데이터 유효성 검사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으려고 합니다.
□ 데이터 유효성 검사란
○ 데이터를 입력할 때 일정한 범위를 두어 그 범위 내에 있는 데이터만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
※ 잘못된 데이터의 입력을 방지하는 기능
□ 데이터 유효성 검사의 종류
○ 정수 : 특정 값보다 크거나 작은, 또는 범위 안의 정만 입력 가능
○ 소수점 : 특정 값보다 크거나 작은, 또는 범위 안의 소수 또는 정수만 입력 가능
○ 목록 : 지정한 범위(또는 직접 입력한 항목)의 값만 입력 가능
○ 날짜 : 특정 범위 안의 날짜만 입력 가능
○ 시간 : 시간만 입력 가능
○ 텍스트 길이 : 정해진 길이의 텍스트만 입력 가능
○ 사용자 지정 : 입력한 수식을 만족하는 조건의 값만 입력 가능
필요에 따라 데이터 유효성 검사 종류에 맞게 각각에 맞는 기준을 설정하면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가 입력이 되는 경우 위와 같은 오류 메시지 창을 띄울 수 있습니다.
만약 회원의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셀이 있는 경우 해당 셀에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설정 후
입력할 때 날짜의 형식이 아닌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위에 정리한 다양한 종류를 적용하는 경우 이름, 나이, 생년월일, 주소 등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는 셀에 따라 다른 조건을 부여하여 데이터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볍게 데이터 유효성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은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이용한 간단한 예제를 직접 만들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Exc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유효성 검사 종류별 특성 알아보기 2 (2) | 2024.02.17 |
---|---|
데이터 유효성 검사 종류별 특성 알아보기 1 (4) | 2024.02.16 |
데이터 막대 사용법 응용 (feat. SORT 함수) (4) | 2024.02.07 |
데이터 막대 사용법 응용 (feat. FILTER 함수) (2) | 2024.02.06 |
조건부 서식 데이터 막대 알아보기 (0) | 2024.02.05 |